아베 오사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오사무는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1루수, 좌익수, 대타로 활약했으며, 세이부 라이온스, 긴테쓰 버펄로스에서 뛰었다. 1987년 만루 홈런으로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고, 일본 시리즈에서 활약하며 '시리즈의 남자'로 불리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전향하여 라쿠텐 골든이글스, 세이부 라이온스, 고양 원더스, 한화 이글스 등에서 코치를 역임했다. 현재는 다카치호 대학 경식 야구부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야기현 출신 야구 선수 - 곤노 류타
곤노 류타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2014년 라쿠텐에 입단하여 2020년부터 야쿠르트에서 활동하다 2024년 다시 라쿠텐으로 복귀했으며, 최고 구속 153km/h의 강속구를 주 무기로 컷 패스트볼, 포크볼, 커브 등을 구사하는 투수이다. - 미야기현 출신 야구 선수 - 오카노 유이치로
오카노 유이치로는 최고 149km/h의 직구와 포크볼을 던지는 우완 투수로, 세이코가쿠인 고등학교,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도시바 야구단을 거쳐 2019년 드래프트에서 주니치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2023년 시즌 후 은퇴하여 현재는 주니치 드래건스의 스카우트로 활동하고 있다.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나카무라 노리히로
나카무라 노리히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 입단하여 타자로 전향, 여러 팀에서 활약하며 홈런왕, 타점왕 등을 수상했고, 메이저 리그에도 도전했으며,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NPB/MLB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한 후 은퇴하여 야구 교실을 운영하고 타격 코치를 역임했다.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마이크 존슨 (야구 선수)
마이크 존슨은 캐나다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08년 대만 CPBL에서 다승왕과 MVP를 수상했고, 캐나다 야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한다.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노모 히데오
노모 히데오는 독특한 투구폼으로 유명하며 NPB와 MLB에서 모두 성공을 거둔 일본의 前 프로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로, 일본 선수들의 메이저 리그 진출 붐을 일으킨 선구자이다.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아베 오사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베 오사무 |
로마자 표기 | Abe Osamu |
출생일 | 1962년 12월 19일 |
출생지 | 미야기현 시로이시시 |
신장 | 184cm |
체중 | 95kg |
利き腕 (주 사용 팔) | 좌 |
타석 | 좌 |
선수 경력 | |
포지션 | 외야수, 1루수 |
드래프트 | 드래프트 4위 |
참가 연도 | 세이부 라이온스(1981 ~ 1996) 긴테쓰 버펄로스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1997 ~ 1999) |
첫 출장 | 1984년 5월 11일 |
최종 경기 | 1999년 9월 23일 (은퇴 경기) |
통산 성적 | 히트: 458 타점: 217 타율: .258 |
코치 경력 | |
코치 이력 | 중신 웨일스(2000)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10 ~ 2011)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2 ~ 2013) 고양 원더스(2014) 한화 이글스(2015) 다카치호 대학 (2017 ~ ) |
2. 선수 경력
(내용 없음)
2. 1. 프로 입단 전
이와테현 오후나토 시립 제1중학교를 졸업하고 도호쿠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도호쿠 고등학교 시절에는 1루수로 활약했으며, 동기이자 에이스였던 나카조 요시노부, 3루수 사토 히로시 등과 함께 고시엔 대회에 총 네 차례 출전했다. 당시 강타자로 주목받아 ‘도호쿠의 가케후’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1][2][8][9]고시엔 대회에서의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결과 | 상대팀 | 비고 |
---|---|---|---|---|
1979년 (2학년) | 제51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 1차전 패배 | 시모노세키 상업고등학교 | [1][8] |
제61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 1차전 대패 | 세이세이코 고등학교 | [2][9] | |
1980년 (3학년) | 제52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 준준결승 패배 | 마루가메조세이 고등학교 | 2차전에서 마쓰에 상업고등학교에 승리[1][8] |
제62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 3차전 역전패 | 하마마쓰 상업고등학교 | 1차전 게이호 고등학교(모토니시 아쓰히로 상대), 2차전 나라시노 고등학교(고세키 마사히코 소속)에 승리[2][9] |
고등학교 졸업 후, 1980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로부터 4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2. 2. 프로 야구 선수 시절
1980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세이부 라이온스로부터 4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입단 후 초기에는 2군에서 주로 활동했으나, 1983년에는 아키야마 고지, 고마자키 유키이치, 시라하타 다카히로 등과 함께 미국 마이너 리그의 산호세 비즈로 야구 유학을 다녀왔다.1987년 5월부터 1군에 정착했고, 같은 해 6월 13일 난카이 호크스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 첫 홈런을 만루 홈런으로 장식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해에는 주로 좌익수와 우익수로 62경기에 선발 출장했다. 같은 해 일본 시리즈에서는 6경기 모두 좌익수로 선발 출전하여 19타수 6안타 1타점을 기록했으며, 5차전부터는 AK포(아키야마 고지, 기요하라 가즈히로)의 뒤를 잇는 5번 타자를 맡아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1988년에는 개막전부터 5번 타자로 기용되었고, 지명 타자를 겸하며 90경기에 선발 출장했다. 그 해 첫 홈런 역시 만루 홈런을 기록하는 등 기회에 강한 타격을 보여주며 팬들에게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1989년부터는 요시타케 하루키의 등장으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이후 잠시 부진했으나 1992년에는 다시 주전 좌익수로 기용되어 73경기에 선발 출장하며 부활했고, 1994년에는 타율 0.348을 기록하는 등 준 레귤러 선수로 활약했다.
세이부의 황금 시대 동안 그는 주로 좌익수, 지명 타자, 대타로 활약하며 팀을 뒷받침했다. 정규 시즌 성적이 좋지 않을 때도 일본 시리즈에서는 중요한 순간에 안타를 쳐내 '시리즈의 남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특히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에이스 투수였던 구와타 마스미에게 유독 강한 면모를 보였다.
하지만 팀의 세대 교체 흐름에 따라 1996년 시즌 종료 후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 이후 긴테쓰 버펄로스의 입단 테스트를 거쳐 합격했다. 긴테쓰 이적 후에는 후지이데라 구장 근처의 구단 기숙사에 단신 부임하여 젊은 선수들에게 모범을 보였고, 1997년에는 타율 .301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부활했다. 긴테쓰에서는 주로 1루수와 대타로 활약했다.
요시오카 유지가 주전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1999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그의 현역 마지막 경기는 9월 23일 세이부 돔에서 열린 친정팀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경기였다. 경기 종료 후, 세이부와 긴테쓰 양 팀 선수들과 코칭 스태프들이 모두 나와 아베를 헹가래하며 그의 18년간의 선수 생활 마감을 축하해주었고, 이 장면은 많은 야구 팬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프로 야구 마스터스 리그 팀인 도쿄 드림스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2005년부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주니어 코치를 맡아 유소년 야구 지도에 힘썼다. 선수 및 코치와 함께 센다이시를 중심으로 초등학교를 방문하고, ‘라쿠텐 이글스·BASEBALL SCHOOL’의 상근 강사 및 구단 주최 소년 야구 학원 강사로 활동했다. 또한 스카이 에이와 라쿠텐 이글스 TV(인터넷 방송)에서 야구 해설을 담당하기도 했다.
2010년에는 라쿠텐 1군 타격 코치 보좌로 발탁되었으나, 팀의 총 득점과 타율이 리그 최하위로 떨어지는 등 타격 부진의 책임을 지고 같은 해 7월 25일 이소베 고이치 2군 육성 코치와 자리를 맞바꾸었다. 2011년에는 2군 타격 코치를 맡다가 5월 15일 다시 2군 육성 코치(타격 담당)로 보직이 변경되었고,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10]
2012년에는 세이부 1군 타격 코치로 부임했으나,[11] 2013년 10월 15일 구단으로부터 다음 시즌 재계약을 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고 퇴단했다.[12]
2014년에는 대한민국으로 건너와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의 코치를 1년간 맡으며 한국 야구와 인연을 맺었다. 2015년에는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2군 타격 코치로 부임하여 1년간 활동했다.[13]
2017년 4월부터는 다카치호 대학 경식 야구부 감독을 맡고 있다.
4. 상세 정보
(내용 없음)
4. 1. 등번호
- '''36''' (1981년 ~ 1985년, 세이부 라이온스)
- '''6''' (1986년, 세이부 라이온스)
- '''25''' (1987년 ~ 1996년, 세이부 라이온스)
- '''38''' (1997년 ~ 1999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 '''55''' (2000년)
- '''76''' (2010년 ~ 2011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72''' (2012년 ~ 2013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71''' (2014년, 고양 원더스)
- '''73''' (2015년, 한화 이글스)
4. 2. 연도별 타격 성적
도
속
기
석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타
점
루
루
자
생
번
생
플
넷
4
구
진
살
타
율
루
율
타
율
P
S